Size: 1218
Comment:
|
Size: 2078
Comment:
|
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. |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. |
Line 13: | Line 13: |
=== 기존 PC 는 기존 공유기로, 게임기만 미꾸라지 공유기로 === 아마도 대부분의 분들이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하실 것으로 추측됩니다. {{{ 인터넷선 -> ISP 에서 제공한 공유기 --+--> PC1 +--> PC2 +--> 스마트폰1 +--> 미꾸라지 공유기 -> 게임기 }}} 이 구성의 경우, PC 및 스마트폰은 모두 기존 공유기를 사용하되, 게임기만 미꾸라지를 태우기 위한 방식입니다. |
|
Line 22: | Line 35: |
중간에 다른 장치가 있더라도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모양새는 변하지 않습니다만, TV셋톱박스 처럼 반드시 SKT 에서 제공한 공유기에 물려야 할경우, 중간에 허브 / 스위치가 필요하게 됩니다. | 중간에 다른 장치가 있더라도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모양새는 변하지 않습니다만, TV셋톱박스 처럼 반드시 SKT 에서 제공한 공유기에 물려야 할경우, 중간에 허브 / 스위치가 필요하게 됩니다. 다만, ipTIME 공유기의 경우 스위치 허브 모드라는 것이 있는데, 이를 이용할 경우 미꾸라지 공유기에서 미꾸라지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(아직 테스트를 해보지 않아 확답을 못드리겠습니다. :-() |
미꾸라지 공유기 네트워크 구성
일반적으로 미꾸라지 공유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 대부분의 분들은 게임기 (PS4, XBox) 에만 적용하길 원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. 그럴 경우, 보통은 아래와 같은 모양새로 네트워크를 구성을 하게 됩니다.
인터넷선 -> ISP 에서 제공한 공유기 -> 미꾸라지 공유기 -> 게임기
간혹 "미꾸라지 공유기" 를 "인터넷선"에 바로 붙이실려는 분들도 계시지만, 전체 네트워크에 미꾸라지를 적용할 것이 아니라면 추천해 드리지 않습니다.
네트워크 구성 예제
기존 PC 는 기존 공유기로, 게임기만 미꾸라지 공유기로
아마도 대부분의 분들이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하실 것으로 추측됩니다.
인터넷선 -> ISP 에서 제공한 공유기 --+--> PC1 +--> PC2 +--> 스마트폰1 +--> 미꾸라지 공유기 -> 게임기
이 구성의 경우, PC 및 스마트폰은 모두 기존 공유기를 사용하되, 게임기만 미꾸라지를 태우기 위한 방식입니다.
TV셋톱박스가 세팅이 필요한 경우
인터넷선 -> SKT서 제공한 공유기 --+--> TV셋톱박스 +--> 허브 / 스위치 --+--> TV셋톱박스 +--> 미꾸라지 공유기 -> 게임기
중간에 다른 장치가 있더라도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모양새는 변하지 않습니다만, TV셋톱박스 처럼 반드시 SKT 에서 제공한 공유기에 물려야 할경우, 중간에 허브 / 스위치가 필요하게 됩니다. 다만, ipTIME 공유기의 경우 스위치 허브 모드라는 것이 있는데, 이를 이용할 경우 미꾸라지 공유기에서 미꾸라지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(아직 테스트를 해보지 않아 확답을 못드리겠습니다. :-()